2025년 8월 7일, 사이버다임이 고려대학교 소프트웨어보안연구소(Center for Software Security and Assurance , CSSA)를 직접 찾아가 미팅을 진행했습니다. 지난 R&D 협약 체결 이후,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더욱 구체화하고, 진행되는 프로젝트를 점검하기 위한 자리입니다.
✅ 국내 최고 수준의 SW 보안 연구기관, CSSA
고려대학교 소프트웨어보안연구소(CSSA)는 국내·외 보안 기술 연구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맡고 있는 기관입니다.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을 위한 보안 취약점 자동분석 기술 연구, 플랫폼 구축을 목적으로 설립되어, 국가 연구 과제, 글로벌 보안 표준, 차세대 보안 기술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보안 우수 인재 양성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고려대학교 전경>
🤝 사이버다임과 CSSA의 R&D 협약
올해 초, 사이버다임과 CSSA는 문서, 이미지, 영상, 도면 등 비정형 데이터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공동 연구개발(R&D)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데이터들은 기업의 지적 자산이자 경쟁력의 핵심이지만, 유출 위험에 가장 취약합니다. 특히 산업 기밀, 연구 데이터, 설계 도면은 한 번 유출되면 그 피해를 되돌릴 수 없어 보안 위협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번 협약은, 기업의 비정형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강화된 보안 체계 구축에 그 의의가 있습니다. 사이버다임의 핵심 제품인 문서중앙화 솔루션은 기업 내 비정형 데이터를 중앙 서버에서 집중 관리하는 솔루션이기 때문에, SBOM 기술을 접목해 더욱 강력한 보안 체계를 만드는 것이 핵심 과제입니다.
이번 협력에서 핵심 기술로 언급되는 SBOM(Software Bill of Materials) 은 소프트웨어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요소들을 관리하고 분석해 보안 취약점을 식별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숨어있는 보안 취약점을 찾아내 보안 위협을 예방합니다.
사이버다임은 이 기술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투명하게 관리하고 잠재적인 보안 취약점을 빠르게 식별하여 데이터 보안을 강화하고, 기업이 안심하고 비정형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 사이버다임과 CSSA의 미팅 현장!
이번 미팅에는 CSSA의 이희조 교수님, 연구기획팀 김형섭 팀장님과 팀원분들께서 참석하셨습니다.
< (좌) 이희조 교수 (우) 김형섭 팀장>
미팅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 현황에 대한 진행상황 리뷰와 함께, 이러한 보안 기술을 효과적으로 적용시키고, 알리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와 보안 인사이트를 더 많은 분들과 나누기 위해, 앞으로 사이버다임 블로그에는 CSSA의 기고문이 함께 올라올 예정입니다.
SBOM 등 보안 기술과 국내외 보안 이슈, 문서중앙화와의 시너지 효과 등을 매월 마지막 주 사이버다임 블로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고려대학교 소프트웨어보안연구소(CSSA) 명패>
이후에는 연구실을 방문해 직접 연구 현장을 확인하고, 다른 연구원 분들과 인사를 나누었습니다.
<연구실에서 업무를 보고 있는 팀원>
실제 연구 현장의 분위기를 확인하고, 어떻게 취약점 분석이 이루어지는지를 직접 확인할 수 있어 뜻깊은 자리였습니다. 😊
이번 고려대학교 소프트웨어보안연구소와의 협력을 통해, 사이버다임의 문서중앙화 솔루션은 가장 안전한 문서 보안 솔루션으로 거듭날 것입니다.
앞으로도 사이버다임은 단순한 기능 개선을 넘어, 기업의 디지털 자산을 더욱 안전하게 지킬 수 있도록 끊임없는 연구개발과 대외 협업을 진행하겠습니다!